먼저 중요한 사실부터 말하자면, 고려 시대에는 한글이 없었어요! 한글은 고려 시대가 끝난 후, 조선 시대(1443년, 세종 대왕 때)에 만들어졌거든요. 그럼 고려 시대 사람들은 글을 어떻게 썼을까요? 고려에서는 한자(漢字)를 사용했어요. 하지만 한자는 배우기가 어렵고, 한국어와 문법이 달라서 여러 가지 방법을 만들어서 사용했어요. 그럼 지금부터 고려 시대의 문자와 기록 방식에 대해 알아봐요! 1. 고려 시대에는 한자를 썼어요! 고려 시대에는 우리말을 표현할 ‘고유한 문자’가 없었어요. 그래서 중국에서 들여온 한자를 사용해야 했죠. 하지만 한자는 중국어를 위한 글자라서 우리말과 잘 맞지 않았어요. 예를 들어, ① "나는 밥을 먹는다." → 이 문장을 한자로 그대로 쓰려면 우리말 어순을 바꿔야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