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실학(實學)을 강조한 이익(李瀷) 선생님

타임머신 2025. 3. 31. 14:57

조선 시대에는 학문을 중요하게 생각하셨던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중에서도 백성들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하기 위해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셨던 학자들이 계셨는데, 이분들을 실학자(實學者)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이신 이익(李瀷) 선생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익 선생님은 조선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옛날의 학문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이익 선생님께서는 어떤 분이셨으며, 어떤 개혁을 주장하셨는지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실학(實學)이란 무엇인가요?

이익-친필편지-출처위키백과
이익의 친필편지 - 출처:위키백과

실학(實學)이란 한자로 ‘실제(實)로 쓸모 있는 학문(學)’이라는 뜻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유학(儒學)을 바탕으로 나라를 다스렸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현실과 맞지 않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 후기에는 농사를 짓는 백성들이 세금 부담이 너무 커서 힘들어하고 있었지만, 관리들은 예전의 방식만을 고집하며 바꾸려 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양반들은 농사를 짓지 않고도 세금을 내지 않으며 편하게 살고 있었지만, 백성들은 계속해서 힘든 노동을 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학문이 바로 실학(實學)입니다. 실학자들은 백성들의 생활을 편하게 만들고, 조선이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도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셨습니다.

 

2. 이익 선생님은 어떤 분이셨나요?

이익 선생님은 1681년(숙종 7년)에 태어나셨으며, 학문을 깊이 연구하셨던 학자이셨습니다. 특히, 조선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시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혁 방안을 연구하셨습니다.

그런데 이익 선생님께서는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에서 조용히 학문을 연구하는 삶을 선택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조선의 정치가 부패했다고 생각하셨고, 관리가 되는 것보다 학문을 연구하며 올바른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셨기 때문입니다.

이익 선생님은 수많은 책을 읽고 연구하시면서 조선이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개혁 방안을 고민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내용을 『성호사설(星湖僿說)』이라는 책에 정리하셨습니다.

 

3. 『성호사설(星湖僿說)』이란 어떤 책인가요?

『성호사설』은 이익 선생님께서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해 연구하신 내용을 정리한 책입니다. 이 책에는 정치, 경제, 농업, 교육, 역사, 지리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익 선생님은 『성호사설』을 통해 조선이 더 나은 나라가 되려면 백성들이 행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이익 선생님께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개혁을 주장하셨을까요?

 

4. 이익 선생님의 대표적인 개혁 사상

(1) 한전론(限田論) – 땅을 공평하게 나누자!

이익 선생님께서는 조선 시대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토지(땅)의 불평등이라고 생각하셨습니다. 당시에는 일부 양반들이 넓은 땅을 차지하고 있었고, 농사를 짓는 백성들은 땅이 없어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익 선생님께서는 "모든 백성이 최소한의 땅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주장하셨습니다. 이것을 한전론(限田論)이라고 합니다.

한전론이란 나라에서 백성들에게 땅을 일정하게 나누어 주고, 누구든지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가 시행되었다면 가난한 백성들도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당시의 양반들은 자기들의 이익이 줄어드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익 선생님의 한전론은 실제로 실행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 사상은 후에 많은 개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2) 과거 제도의 개혁 – 실력 있는 사람을 뽑자!

조선 시대에는 과거 시험을 통해 관리가 되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과거 시험이 주로 유교 경전(옛 책의 내용)을 암기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나라를 발전시킬 수 있는 인재를 뽑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익 선생님께서는 "시험을 통해 관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진짜 능력 있는 사람이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하셨습니다.

또한, 양반들만 과거 시험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신분이 낮은 사람들은 아무리 똑똑해도 관리가 될 수 없었습니다. 이익 선생님은 이런 신분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3) 여섯 가지 좀비(六賊) – 조선 사회의 문제점 비판

이익 선생님께서는 조선 사회의 문제점을 ‘여섯 가지 좀비(六賊, 육적)’라고 표현하시며 강하게 비판하셨습니다. 그 여섯 가지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과거 시험의 부패 – 양반들이 권력을 독점하고, 실력보다는 집안 배경이 중요하게 여겨짐

    ② 토지 불평등 – 일부 양반들이 많은 땅을 차지하고 백성들은 땅이 부족함

    ③ 세금 부담 – 백성들에게만 세금을 부과하고 양반들은 세금을 내지 않음

    ④ 군대 문제 – 양반들은 군대에 가지 않고, 백성들만 군대에 끌려감

    ⑤ 상업 경시 – 상업과 기술을 낮게 보고 발전을 막음

    ⑥ 사치와 낭비 – 일부 부자들이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면서 백성들은 힘들게 삶

 

이익 선생님께서는 이 여섯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조선이 더 좋은 나라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셨습니다.

 

5. 이익 선생님의 영향과 오늘날의 의미

이익 선생님께서는 직접 벼슬에 나가시지는 않으셨지만, 그의 사상은 후대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특히, 정약용 선생님 같은 후배 실학자들이 이익 선생님의 개혁 사상을 더욱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오늘날에도 이익 선생님의 사상은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1) 공평한 사회 – 모든 사람이 공정한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

(2) 능력 중심 사회 – 출신 배경이 아니라 실력이 중요한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3) 사회 개혁의 필요성 – 잘못된 점을 고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이익 선생님께서는 조선 사회의 문제점을 연구하시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개혁 방안을 제시하셨습니다. 비록 그의 개혁이 당시에는 실행되지 못했지만,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이익 선생님처럼 문제를 발견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고민하는 태도를 가진다면 미래에 훌륭한 인재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